[알고쓰자] Spring - 03 : 아키텍처
Intro
다시 돌아왔습니다. 지난 알고쓰자 Spring 의 주제는 업데이트 내역이었습니다. 😀 Spring 의 변천사를 통해 IT 서비스 트랜드에 따라 Spring 프레임워크도 변화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죠.
Spring 의 내부 구조에 대해 궁금증을 가졌던 시점은 2022년 어느날이었습니다.
아마 아시는 분은 알겠지만, 처음부터 웹 개발자로 커리어를 이어가려는 생각이 있었던 건 아니었어요. 그 당시엔 일단은 백엔드 개발 업무를 쳐내기 위해 Spring 공부를 시작했고, 프레임워커로 몇달 간 지내다보니 아키텍처를 모름으로써 생기는 이슈가 발생했어요.
Controller 영역으로 들어왔다는 것은 이미 Servlet 영역에서 HttpServletRequest 인스턴스를 HttpMessageConverter 가 확인했다는 이야기죠. 이 이후의 로직 흐름에 대한 디버깅은 크게 문제가 없었으나, 때로는 Controller 영역 이전에서 에러가 발생하곤 합니다. 혼자서 Spring Security 를 셋업하고 공부하던 도중 이런 에러를 많이 마주했어요.
내부 아키텍처를 잘 이해하지 않고 사용한다면, Spring 에 전달 된 로직이 어떤 과정으로 처리되는 지 알기 어려워요. 아마 많은 개발자 분들이 잘 알고 계실 거라 생각하는 주제지만...혹시나 Spring 아키텍처를 잘 모르신다면 이번 포스팅이 도움이 되실 것이라 생각해요.
이번 포스팅은 크게 두 단계로 나뉠 것 같아요. 먼저 Web 애플리케이션의 요청을 처리하는 영역에 대해 알아본 후, 전체 아키텍처를 크게 돌아보며 마무리 될 것 같아요.
알고쓰자 Spring! 이번 달도 한번 달려보겠습니다!
MVC 패턴?
MVC 패턴에 대해 아시나요? Model View Controller 패턴이라고 하죠. 유저는 View를 통해 결과물을 보고, Controller 에게 요청을 보내는 구조입니다. Model 에서는 요청에 대한 결과물을 반환하죠.
Spring Boot 를 처음 셋업할 때 아마 Spring Boot Starter Web 을 포함 하셨을거에요. 해당 Dependency 에서는 아래의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죠.
Embedded Tomcat
Spring MVC
Jackson
😎 : 잠시만 전 Webflux 를 가져왔는데요?
😊👊
우리의 Spring 애플리케이션에서 MVC 패턴을 적용시켜주는 역할을 Spring MVC가 수행합니다.
즉 Spring Boot Starter Web을 사용하셨다면, Tomcat 기반으로 동작하는 Spring MVC를 설정한 것과 마찬가지고, MVC 패턴을 사용하고 계신다는 의미입니다.
그럼 Spring MVC는 어떤 구조로 구현 되어있을까요?
Spring MVC
Spring MVC 의 대략적인 구조는 위와 같습니다. 간단하게 동작 과정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죠.
요청 정보를 Dispatcher Servlet 이 전달 받고 Handler Mapping 에게 어떤 Controller 에 전달해야 할 요청인 지 확인받는다.
Handler Mapping 으로 전달받은 정보를 토대로 Controller 에게 Request 를 보낸다.
Controller 는 결과값을 Dispatcher Servlet 에 전달하고, Dispatcher Servlet 은 View Resolver 에게 어떤 View 에 데이터를 전달할 지 확인한다.
View 에 결과물을 전달한다.
만약 REST Controller 를 사용한다면 ViewResolver 를 따로 사용하지 않고 그대로 데이터를 리턴하게 됩니다.
Spring MVC 의 한계?
MVC 패턴은 충분히 훌륭합니다. 하지만 Spring 에서는 Spring MVC의 구조적 이슈로 인해 대용량 요청 처리에 불리하다는 단점을 가집니다.
Spring MVC는 기본적으로 Tomcat 을 사용합니다. Tomcat 은 Thread Pool 에 할당 된 스레드들을 요청에 할당하고, 요청이 마무리 되어 응답이 전달되면 그때 스레드가 다시 Thread Pool 에 반환되는 구조입니다. MVC 패턴 그 자체가 Thread Pool 을 쓴다! 라는 건 아니에요. 우리가 Spring MVC를 쓰고 Spring MVC 가 Tomcat 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런 방법을 사용하죠.
이제 요청이 엄청나게 늘어난다고 가정 해 보겠습니다. RPS (Response Per Second) 가 한 100 정도 된다고 생각해볼게요.
보통 Thread Pool 의 크기를 구하는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스레드 풀 크기 = 요청 량 X 요청 처리 평균 시간 X 안전계수
요청 처리 평균 시간을 비관적으로 잡아서 1초라고 해볼게요. (와 느리다...) 안전 계수도 보수적으로 잡아서 1.5를 잡아보면 스레드 풀 크기는 100 X 1 X 1.5 = 150 이 됩니다.
서비스가 갑자기 잘 되어서 RPS 가 200으로 늘어났습니다. 그럼 스레드 풀 크기는 300이 되겠죠.
여기서 알 수 있는 사실은 'Spring MVC는 Tomcat 의 스레드 풀을 사용하는 만큼, 서비스 요청 량이 늘어나면 더 많은 시스템 자원을 사용할 수 밖에 없다.' 입니다.
결국 하드웨어 자원을 늘리는 형태로 문제를 해결할 수 밖에 없다는 의미인데, 비용 절감이 중요한 회사 입장에서는 쉽게 받아들이기 어려운 의사결정일 수 있겠죠.
또한 각각의 스레드들은 Blocking IO 방식을 사용합니다. 무작정 스레드풀을 늘리는 형태로 문제가 해결 가능할 진 몰라도 스레드 각각이 물고있는 로직들이 끝날 때 까지 스레드가 빠지지 않는다는 것은 언젠가 Thread Pool 의 스레드가 고갈 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는 이야기죠. 결국 해결 방법은 자원을 높게 할당하는 것 뿐이라는 건데...좀 더 자원을 효율적으로 쓸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Reactive
이 경우 Event Loop 를 사용하는 Reactive 패턴을 통해 시스템 자원을 절약하는 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Spring 에서 Reactive 패턴을 사용하고 싶다면 Spring Webflux 를 도입하여 사용해보실 수 있습니다.
Webflux 는 기본적으로 Netty 를 기반으로 동작하는데, 내장 된 Event Queue 에 요청을 적재하고, Event Loop 쓰레드에서 요청을 처리하는 구조입니다. Netty 는 Non Blocking I/O 방식을 사용하는 비동기 이벤트 기반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입니다.
사실 Tomcat 3.1 부터는 비동기 논블로킹을 지원하긴 합니다. Webflux 를 처음 셋업했을 때 기본 옵션은 Netty 입니다.
Netty 에는 Event Loop 라는 개념이 존재하는데 Event Loop 는 요청마다 쓰레드를 생성하는 대신, 하나의 이벤트 루프가 여러 요청을 순차적으로 처리합니다. 이때 각각의 이벤트 루프는 비동기적으로 동작합니다.
각 이벤트 루프는 이벤트큐 를 가지고 있으며, 네트워크 요청이 들어오면 이벤트 큐에 작업을 추가합니다. 이때 작업은 Task 형태로 이벤트 큐에 등록됩니다. 큐에 등록된 작업들은 이벤트 루프에 의해 차례로 실행되며, 비동기 작업이므로 I/O 작업(예: 파일 읽기, 네트워크 통신)은 완료될 때까지 블로킹되지 않습니다.
Netty 에서 I/O 요청이 발생하면, 작업이 이벤트 큐에 등록되고, 비동기 적으로 작업이 처리됩니다. 작업이 완료되면, 완료 결과를 promise 객체에 전달하고, promise 는 결과값을 이벤트 루프에 전달하죠.
이벤트 큐 덕분에 Netty 는 Non Blocking I/O, 즉 요청에 대한 Blocking 을 하지 않고도 비동기적으로 작업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작업이 끝날 때 까지 스레드를 물고 있는 Blocking I/O 보다는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죠.
즉 Spring MVC, Blocking I/O 로 감당이 어려운 수준으로 트래픽이 발생하고, 마냥 하드웨어 자원을 늘리는 형태로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운 경우 Webflux를 통해 기존 자원을 효율적으로 소비하도록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Webflux 자체는 좋은 시도이나, 러닝커브가 존재합니다.
기존의 Spring 애플리케이션 코드에 변화가 생기기도 해요.
시스템 자원을 우선 늘려보고, 정말 필요하다고 판단이 될 때 시도하는 것을 고려하길 권장해요.
우선 삽으로 최대한 땅을 잘 파보고 포크레인이 필요한 만큼 감당이 어렵다면 포크레인을 배워서 써야하는 법이니까요...
무작정 포크레인을 몰다가 아무것도 못 하는 경우가 생긴다면 그게 더 슬플겁니다...
Spring Webflux
Webflux 내에서 HTTP Request 가 수신 된다면, Netty 의 이벤트 루프가 작업을 감지합니다. 작업은 Netty 이벤트 큐에 등록 되어 처리되고, 결과는 Mono
혹은 Flux
에 감싸져서 처리되죠.
그 외에 Spring 내부에서는 비슷하게 동작합니다. Dispatcher Servlet 이 아닌 HttpHandler 가 요청을 받고, WebHandler 가 어떤 Controller 를 사용할 지 선택한 후, Handler Adapter를 통해 Controller 에게 요청을 보내죠. 작업이 마무리되면 HandlerResultHandler 에게 요청을 전달하고, WebHandler 를 통해 HttpHandler로 Response 가 전달됩니다.
Layered Architecture
지금까지 WebMVC, Webflux 등을 사용하였을 경우 전반적인 Spring 의 구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하지만 이게 다는 아닙니다. 우린 지금까지 Controller 영역 외부의 이야기만 했으니까요. Controller 라고 부르는 컴포넌트는 MVC, Webflux 와 무관하게 Handler 로 간주됩니다. HTTP 요청의 URI 중에 어떤 핸들러와 매핑 되었는 지에 따라 특정 Controller 의 메소드가 호출됩니다. 호출 된 메소드를 타고 요청에 대한 결과값이 리턴되죠.
Layered Architecture 라는 용어를 들어보셨을 지 모르겠습니다. Spring Framework 그 자체는 특정한 아키텍쳐를 종속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Layered Architecture 를 지원하고, 일반적으로는 Layered Architecture 를 사용 하실 것입니다.
그럼 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Layered Architecture 란 무엇인가요? 말 그대로 계층으로 구분 된 구조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면 OSI 7 Layer와 마찬가지죠. OSI 7 Layer 는 각각의 계층들의 책임을 분리하는 구조를 가집니다. 다른 계층에 영향을 끼칠 수도 없습니다. 실제로 데이터 패킷은 계층을 지날때마다, 송 수신 될 때마다 각 계층에 필요한 데이터 헤더가 추가되거나 제거됩니다. 계층마다 보는 데이터 헤더가 다르고, 필요한 데이터만 헤더에서 확인하고 다음 계층으로 넘기죠.
여기서 다른 계층에 영향을 끼칠 수 없고, 각 계층의 책임이 분리되어있다는 말에 주목 해볼까요?
Spring Boot 를 사용하신다면 기본적으로 Layered Architecture 를 채택했다는 전제를 가집니다. Spring Boot 자체가 사실 Spring Framework 의 초기 셋업을 모두 진행해주므로 아키텍쳐 또한 Layered Architecture 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Spring Boot는 네 가지 계층을 가집니다.
Presentation Layer
Business Layer
Persistence Layer
Database Layer
이전에 이야기했던 WebMVC, Webflux 구조는 Presentation Layer의 이야기입니다. Presentation Layer 에서는 HTTP 요청 처리, 인증 처리 등의 책임을 가지죠. 또한 JSON 데이터 등을 객체로 변환하거나 역으로 객체를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Controller
클래스 까지가 Presentation Layer라고 할 수 있습니다.
Business Layer는 우리가 흔히 @Service
컴포넌트라고 부르는 클래스가 담당하는 영역입니다. @Controller
는 @Service
영역의 메소드를 호출하여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하죠.
Persistence Layer 는 Data Access Layer 라고도 합니다. 비즈니스 로직의 결과물을 데이터베이스에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Database Layer는 우리가 사용하는 Database 의 영역입니다. 실제로 Database 에 데이터를 CRUD 하는 역할을 하죠.
각각의 Layer 들은 서로 간섭하지 않습니다. 필요한 경우 서로의 API를 호출할 뿐이죠. @Controller
컴포넌트는 @Service
의 메소드를 호출할 뿐 직접적인 비즈니스 로직에 관여하지 않습니다. 이하도 마찬가지죠.
만약 우리가 웹페이지에서 요청하고자 하는 URI 가 바뀌거나, 요청의 결과물이 바뀌었다고 가정해보죠. 이 경우 v1 API를 v2로 바꾸거나 Return Object를 변경하는 등 Presentation Layer는 변경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비즈니스 로직이 변하는 건 아니니 Business Layer 이후로는 변화가 없습니다.
물론 코딩을 어떻게 했느냐에 따라 Business Layer의 메소드의 Return Object가 바뀔 수는 있습니다. 이 경우 틀렸다고 볼 수는 없지만, 결합도가 강하다고 볼 수 있죠. 그러므로 가능하면 Layer 간에 데이터는 **DTO(Data Transfer Object)**라는 객체를 통해 전달하는 패턴을 권장합니다.
@Controller
class TestController(
private val testService : TestService
) {
data class TestResponse (
val name : String,
val age : Int
)
@GetMapping("/api/v1/test")
fun testApi() : ResponseEntity<TestResponse> {
val result = testService.testMethod()
return ResponseEntity().ok().body(TestResponse(
name = result.name,
age = result.age
))
}
}
@Service
class TestServiceImpl(
private val testRepository : TestRepository
) : TestService {
data class TestEntityDTO (
val name : String,
val age : Int,
val job : String,
val
)
fun testMethod() : TestEntityDTO {
val entity = testRepository.findById(0L)
return TestEntityDTO (
name : entity.name,
age : entity.age,
job : entity.job
)
}
}
@Repository
interface TestRepository : JpaRepository<TestEntity, Long>
간단한 예시를 하나 보겠습니다. 특정 요청을 통해 엔티티 정보를 REST API 의 요구사항에 맞게 가공해서 전달 하는 예시입니다.
@Controller
, @Serivce
, @Repository
각각은 절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지 않습니다. (사실 할려면 할 수는 있겠지만, 권장되는 패턴은 아닙니다.) @Controller
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Service
와 통신하고, @Service
또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Repository
와 통신하죠. 또한 @Service
의 testMethod 의 결과물은 DTO를 통해 @Controller
에 전달됩니다. 해당 DTO를 통해 @Repository
와 @Controller
의 직접적인 결합도를 낮출 수 있죠. @Controller
에서는 요구사항에 맞게 Response 클래스 를 수정하여 결과물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만약 Response 클래스가 수정되는, 즉 Presentation Layer가 수정된다고 해도 Business Layer, Persistence Layer는 영향이 없죠.
아마 Spring Boot 를 처음 입문 해 보신 분들은 Service Interface, ServiceImpl 등의 패턴을 많이 보셨을 것입니다.
Business Layer 를 기준으로 Service Interface 를 작성하는 이유가 바로 Presentation Layer 와 Business Layer 간 의존성을 낮추기 위함이에요.
좀 더 깊게 나아가서 제공하고자 하는 기능에 따라 interface를 여러개로 분리할 수 있고, 해당 interface를 상황에 따라 다르게 구현해서 필요에 따라 다른 Service 컴포넌트를 연결 시켜줄 수도 있어요.
Outro
지금까지 Spring MVC, Webflux 등의 구조, Spring Boot Layered Architecture 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알고 쓰지 않는다면, 기계적으로 코드를 작성하거나 결합도가 높은 코드를 작성할 수 있는 개념들이라고 생각해요.
또한 Spring Framework 의 설계 철학을 엿볼 수 있어요. 이전 글에서 객체지향 5대 원칙에 대해 언급했는데, Spring Framework 는 이 객체지향 5대 원칙을 최대한 준수하는 구조로 설계 되어있어요. 우리가 직접적으로 프레임워크를 만들어서 쓰는 입장이 아니라면, 블랙박스를 잘 쓰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내부를 알고 쓴다면 더욱 유지보수하기 좋은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지 않을까요?
다음 포스팅은 AOP 에 대해 다뤄보려고 합니다. 다음에 또 봬요!! 😊
Reference
https://docs.spring.io/spring-framework/docs/3.2.x/spring-framework-reference/html/mvc.html https://www.geeksforgeeks.org/spring-mvc-framework/ https://www.geeksforgeeks.org/spring-boot-architecture/ https://medium.com/@diego.lucasilva/spring-webflux-under-the-hood-c6446c87ea84 https://medium.com/@burakkocakeu/spring-web-vs-spring-webflux-9224260c47b5